반응형

Finance/151 투자전략 10

투자전략 : 내재 변동성 (Strategy: Implied volatility)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평균적으로 전월에 걸쳐 콜 내재 변동성이 크게 증가한 주식이 더 높은 미래 수익률을 갖는 반면, 전월에 걸쳐 풋 내재 변동성이 더 많이 증가한 주식이 평균적으로 더 낮은 미래 수익률을 갖는다는 실증적 관찰에 기초한다. (참조, 예: [An et al, 2014], [Chen, Chung and Tsai, 2016]) 따라서 트레이더는, 예를 들자면, 콜 내재 변동성의 증가로 상위 10분위의 주식을 매수하고 풋 내재 변동성의 증가로 상위 10분위의 주식을 매도함으로써 달러 중립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고, 콜 내재 변동성과 풋 내재 변동성의 변동 간의 차이로 상위 10분..

투자전략 : 저변동성 이상 (Strategy : Low-volatility anomaly)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이전에 낮은 수익률 변동성 포트폴리오의 미래 수익률이 이전에 높은 수익률 변동성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능가한다는 경험적 관찰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σi'가 역사적 변동성으로 정의되면 거래자는 바닥에서 주식을 매수하여 달러 중립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가격 모멘텀 전략'에서의 'σi' 관련 식에서와 같이 역사적 수익률의 시계열에 대해 계산됨) 예) σi에 의한 하위 십분위수(저변동성 주식)와 상위 십분위의 공매도 주식(고변동성 주식). https://skydance.tistory.com/25 투자전략 : 가격 모멘텀 (Strategy : Price-mo..

투자전략 : 가치 (Strategy : Value)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가격 모멘텀 및 어닝 모멘텀 전략과 같이 승자를 사고 패자를 매도하는 것에 해당하지만 선택 기준은 가치에 기반한다. 가치는 장부 대 가격(Book-to-Price, B/P)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예: [Rosenberg, Reid and Lanstein, 1985] 참조) 여기서 "장부(Book)"는 회사의 발행 주당 장부가이다. 따라서, B/P 비율은 장부가액(the Book-to-Market ratio)과 동일하고 여기서 "장부(Book)"는 발행 주당 장부가가 아니라 총 장부가치를 나타내며 "시장(Market)"은 시가 총액이다. 예를 들어, 거래자는 B/P 비..

투자전략 : 수익 모멘텀 (Strategy : Earnings-momentum)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가격 모멘텀 전략과 같이 승자를 사고 패자를 매도하는 것과 같으나, 선택 기준은 수익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선택 기준을 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표준화된 예상치 못한 소득(SUE)을 사용하는 것이다. [Chan, Jegadeesh 및 Lakonishok, 1996] Ei는 i로 표시된 주식의 가장 최근에 발표된 분기별 순이익 Ei'는 4분기 전에 발표된 주당 순이익 σi는 지난 8분기 동안 예상치 못한 수익 Ei - Ei'의 표준편차 예를 들어, 거래자는 SUE 상위 10분위의 주식을 구매하고 하위 10분위의 주식을 공매도함으로써 가격 모멘텀 전략과 유사하게, 달러 중..

투자전략 : 가격 모멘텀 (Strategy : Price-momentum)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경험적으로, 모멘텀 효과로 알려진 주식 수익률에는 특정 "관성(Inertia)"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미래 수익률은 과거 수익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예: [Asness, 1994], [Asness et al, 2014], [Asness, Moskowitz 및 Pedersen, 2013], [Grinblatt 및 Moskowitz, 2004], [Jegadeesh 및 Titman, 1993] 참조) t는 1개월 단위로 측정된 시간을 나타내며 t = 0은 가장 최근 시간에 해당한다. Pi(t)를 i로 표시된 주식의 가격(분할 및 배당금에 대해 완전히 조정된)의 시계열..

투자전략 : 채널 (Strategy : Channel)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주식이 채널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도달하면 주식을 사고 파는 것과 같다. 채널은 주가가 변동하는 상한선과 하한선으로 둘러싸인 범위/밴드이고 거래자는 바닥이나 한도에 도달하면 주가가 반대 방향으로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반면에 주가가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돌파하면 거래자는 새로운 추세가 나타났다고 결론을 내리고, 이 새로운 추세를 따를 수 있다. 채널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정의는 Donchian Channel[Donchian, 1960]이며, 여기서 천장 'B up'과 바닥 'B dow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 up = max( P(1), P(2) , ... ..

투자전략 : 지지와 저항 (Strategy : Support and Resistance)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S(Support) 및 R(Resistance)레벨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피벗 포인트" C(Center)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H : 전일의 고가 (Price High) PL : 전일의 저가 (Price Low) PC : 전일의 종가 (Price Close) 거래 시그널을 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P는 현재 가격) [시그널] P > C인 경우 매수 포지션 설정 P ≥ R인 경우 매수 포지션 청산 P < C인 경우 매도 포지션 설정 P ≤ S인 경우 매도 포지션 청산

투자전략 : 두개의 이동 평균 (Strategy : Two Moving Averages)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의 가장 간단한 변형은 ‘단순 이동평균’의 시그널에서 주가 'P'를 다른 이동 평균으로 대체한다. 즉, 길이가 T' 및 T인 2개의 이동 평균이 있으며, 여기서 T' MA(T)인 경우 매수/숏 포지션 청산 설정 MA(T') < MA(T)인 경우 매도/롱 포지션 청산 이 시그널은 실현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인 “stop-loss" 규칙으로 보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롱 포지션이 설정된 경우 거래자는 주식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짧은 이동 평균(T')이 아직 더 ..

투자전략 : 단일 이동 평균 (Strategy : Single Moving Average)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은 주가가 이동 평균을 교차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단순 이동 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 또는 지수 이동 평균(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이동 평균(MA)을 사용할 수 있다. P는 시계열 P(t)에서 가장 최근 거래일 t=1 다음 거래일인 t=0일 때의 가격 t=1은 과거 주가 P(t)의 시계열에서 가장 최근 시간 T는 MA의 길이(t와 T는 일반적으로 거래일에 측정) λ MA(T)인 경우 매수 포지션 설정, 매도 포지션 청산 P < MA(T)인 경우 매도 포지션 설정, 매수 포지션 청산 이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