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문 : 151 Trading Strategies by Zura Kakushadze, Juan A. Serur (2018)
이 전략의 가장 간단한 변형은 ‘단순 이동평균’의 시그널에서 주가 'P'를 다른 이동 평균으로 대체한다.
즉, 길이가 T' 및 T인 2개의 이동 평균이 있으며, 여기서 T' < T (예: T' = 10 및 T = 30)이고 시그널은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시그널]
- MA(T') > MA(T)인 경우 매수/숏 포지션 청산 설정
- MA(T') < MA(T)인 경우 매도/롱 포지션 청산
반응형
이 시그널은 실현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인 “stop-loss" 규칙으로 보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롱 포지션이 설정된 경우 거래자는 주식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짧은 이동 평균(T')이 아직 더 긴 이동 평균(T)을 교차하지 않은 경우에도 롱 포지션을 청산하는 임계값을 정의할 수 있다.
[시그널]
- MA(T') > MA(T)인 경우 매수 포지션 설정
- P < (1 - △ ) x P1인 경우 매수 포지션 청산
- MA(T') < MA(T)인 경우 매도 포지션 설정
- P > (1 + △) P1인 경우 매도 포지션 청산
* △은 미리 정의된 백분율 (예: △ = 2%)
따라서 현재 가격 P가 전날 가격 P1보다 2% 이상 떨어지면 롱 포지션이 청산되고 P가 P1보다 2% 이상 상승하면 숏 포지션이 청산된다. 이러한 전략은 다른 변형으로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Finance > 151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전략 : 가격 모멘텀 (Strategy : Price-momentum) (0) | 2022.11.19 |
---|---|
투자전략 : 채널 (Strategy : Channel) (0) | 2022.11.18 |
투자전략 : 지지와 저항 (Strategy : Support and Resistance) (0) | 2022.11.17 |
투자전략 : 세개의 이동 평균 (Strategy : Three Moving Averages) (0) | 2022.11.16 |
투자전략 : 단일 이동 평균 (Strategy : Single Moving Average) (0) | 2022.11.14 |